본문 바로가기

인문학 석강

<지식의 통섭> 2편-생물학이 학문의 중심에 서게 된 배경

최재천 교수의 《통섭의 시대, 생물학의 시대》
2편  "생물학이 학문의 중심에 서게 된 배경"
  •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영상을 보시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재생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저작권으로 인해 자막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 오프라인 강연을 편집하여 제공해 드리며, 사정에 따라 매끄럽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동영상 Play 안 될 경우 FAQ > 멀티미디어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해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경제학은 뿌리 채 흔들렸다. 경제학은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다’라는 전제 하에 하는 학문이었지만, 실제 인간은 그렇게 완벽하지 않은 존재였기 때문이다. 이제 경제학은 경제의 주체인 인간이라는 동물의 행동, 본성, 심리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다. 이때문에 생물학이 다시금 조명 받고 있다. 최재천 교수의 강연을 통해 생물학이 학문의 중심에 서게 된 배경을 알아보자.
  • 21세기의 새로운 방법론은 서로 교류하는 ‘호상적 통섭’이다!
  • 생물학은 태생적으로 통섭적일 수밖에 없는 학문이다!
  • 다윈의 진화론으로 통합적인 접근을 하는 21세기 생물학!
  • 다윈 경제학의 시대가 열렸다!
  • 생물학은 자연과학과 인문학의 방법론을 다 사용하는 인문과학이다!
강연사진
강연자 소개
최채천 교수
최채천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석좌교수, 국립생태원 원장
하버드대학교 대학원 생물학 박사
우리 시대의 대표적인 통섭학자로서 자연과학과 인문학의 경계를 넘나들며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는 동시에 과학의 대중화에도 앞장서고 있다. 하버드대학교 은사인 에드워드 윌슨 교수의 책 Consilience를 《통섭》이라는 제목으로 번역하여 학문 간 교류와 소통의 필요성을 널리 알렸다. 서울대학교 동물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생태학부에서 석사학위를, 하버드대학교 생물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를 거쳐 현재는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작성일
2014-03-27

소셜 댓글

SNS 로그인후 댓글을 작성하시면 해당 SNS와 동시에 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신청

서비스 신청 시 정보등록 및 개인정보취급위탁에 동의가 필요합니다.

  • - -

개인정보 변경을 원하시면 개인정보 관리에서 변경 가능합니다.

완료

신청 완료 되었습니다.

서비스 이용안내

eBook & 영상콘텐츠 서비스는 ‘광화문에서 읽다 거닐다 느끼다’ 사이트 회원중 ‘교보생명 계약고객’ 전용 서비스입니다.

계약고객이신 경우 로그인하시면 본 콘텐츠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직 계약고객으로 인증하지 않은 고객님은 로그인 후 개인정보관리 페이지에서 계약고객으로 인증하시면 바로 콘텐츠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비스 이용안내

eBook & 영상콘텐츠 서비스는 ‘광화문에서 읽다 거닐다 느끼다’ 사이트 회원중‘교보생명 계약고객’ 전용 서비스입니다.

‘교보생명 계약고객 인증고객이 로그인’을 하시면 eBook & 영상콘텐츠 를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보생명 계약고객 인증은 개인정보 관리 메뉴에서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