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화제작

파친코


파친코파친코
파친코

왜 재미있을까?

올 3월 애플TV+에서 방영한 드라마 <파친코>의 원작소설인 이민진의 『파친코』가 최고의 문제작으로 주목받고 있다. 구상부터 탈고까지 30년이 걸린 그녀의 장편소설은 외신(BBC, 뉴욕타임스)에서 극찬을 받았고 2022년 제26회 만해문예대상에도 선정되었다. 이방인의 삶을 타자적 시선으로 그린 『파친코』의 열풍은 일본 합병과 자이니치에 대한 차별과 혐오 등 일본사회의 문제와 한일관계를 전세계에 전파했다는 점에서 매우 유의미하다. 작가는 첫 장편소설 『백만장자를 위한 공짜음식』에서 보수적인 이민 1세대 부모와 다르게 미국적 가치관을 지닌 딸 케이시의 자본주의적 욕망에 충실한 삶과 백인 주류사회에 영원히 소속될 수 없는 절망적인 이주생활을 그린 바 있다. 한국계 미국인 작가의 『파친코』에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보수적 세계관과 가족주의 등 미국적 가치관이 내재되어 있다. 세계화 시대에 재미작가가 영어로 쓴 재일조선인의 신산한 삶을 그린다는 점에서 이 소설은 다문화 시대의 문학적 특징을 지닌다.

최근 문학적 경향 중 하나가 혼종적 정체성을 지닌 디아스포라의 등장이다. 국적, 국경, 국민의 경계를 넘어 이중 문화와 언어를 지닌 복합적이고 혼종적인 주인공은 갈등과 분열 속에서 삶을 영위한다. 연대기가족사소설이자 디아스포라문학인 『파친코』의 첫 문장은 이렇다.

파친코파친코

식민지, 전쟁, 분단, 남북대결이라는 극한 상황에서 역사가 한 개인에게 엄청난 영향을 끼쳤지만 ‘그래도 괜찮아야 하는’ 생존본능으로 삶을 유지한 일제강점기 우리 민족의 신산하고 고달픈 여정을 첫 문장은 함축하고 있다. 1세대 훈이와 양진 부부, 2세대 부부인 선자와 이삭, 3세대 노아/모자수, 4세대 솔로몬까지 이민 4대의 신산하고 파란만장한 삶에는 한국, 북한, 일본 등 복잡하고 까다로운 동아시아 정세가 깔려있다.

약 79년에 걸친 시간성과 부산 영도~미국 뉴욕이라는 공간성이 담긴 디아스포라 문학

1부 고향(Hometown)과 2부 조국(Motherland)의 목차에 나타나듯이 1910년부터 1989년까지의 시간성과 부산 영도, 제주도, 북한 평양, 일본 오사카, 요코하마, 미국 뉴욕이라는 공간성은 디아스포라 문학에서 중요하다. 언청이이자 다리 기형인 훈과 양진 사이에서 태어나 지극한 부모의 사랑을 받으며 당당하고 지혜롭게 자란 17세의 선자는 운명의 남자 고한수를 만나 사랑하지만 그가 유부남임을 알게 되어 절망에 빠진다. 남의 아이를 임신한 선자를 아내로 맞이한 이삭은 선한 구원자이자 순교자이며 선지자의 모습을 띠고 있다. 남성인물들이 성경 이름으로 작명되고, 가족중심적이라는 점에서 이 소설은 기독교, 구원, 부활, 성가정, 청교도적 윤리 등 미국적 사유가 바탕을 이룬다.

선자, 이삭 부부가 이주한 자이니치 거주지인 이카이노[猪飼野]는 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불결하고 악취가 나는 곳으로 혐오와 멸시의 공간이자 조선인을 차별하고 배척하며 공간을 구획하고 경계 짓는 혐오 공간이다. 부라쿠민보다 더 천한 족속으로 여겨지는 자이니치는 ‘교활하고 영악한 종족’, ‘타고난 말썽꾼’으로 인식된다. 돼지들과 공유하는 빈민가 판잣집에서 생활하는 조선인의 비위생적이고 곤궁한 환경과, 일본인이 기피하고 혐오하는 넝마주이, 폐품수집상, 야쿠자, 파친코, 건설현장직 등의 직업은 범죄, 비위생, 불건전 이미지를 형성하여 자이니치를 부정적으로 바라보게 한다. 이카이노 주거지와 파친코 노동 공간은 더럽고 남루하고 곤궁하며 동물과 인간 사이에 위치한 자이니치의 정체성을 규정한다.

놀림과 비난과 멸시 속에서 자이니치 2세들은 자라며, 외국인 정체성으로 지문을 찍어야 하는 불편하고 고통스러운 삶을 영위한다. 환대받지 못하고 성장한 노아는 일본인, 되기 더 나아가 유럽인이 되기를 꿈꾸며 파친코, 이카이노가 상징하는 비주류이자 하층민 이미지에서 벗어나고자 와세다대를 다니며 신분상승을 꿈꾸지만 식민지 조선인, 야쿠자 출신인 친부의 혈통을 극복하지 못하고 자살한다. 형과 달리 모자수는 일본학생의 조롱을 폭력으로 응대하며 파친코 사업에 뛰어들어 성공하지만 아들 솔로몬만큼은 식민지 종주국이자 이주국인 일본에서의 차별받는 삶의 고리를 끊고자 미국 유학을 보낸다. 그러나 노아, 모자수, 솔로몬은 주류에 진입하지 못하고 파친코와 관련된 일을 함으로써 폐쇄적이고 계급적인 일본사회를 고발한다.

서사의 중심에 있는 선자는 무능하고 약한 남편 대신 ‘김치 아줌마’로 생계를 이어가는 전통적이면서도 주체적인 여성이다. ‘가네다준코’, ‘백선자’, ‘보쿠선자’, ‘반도준코’ 등 선자나 ‘백노아’, ‘보쿠 노부오’로 불리는 노아의 다층적이고 분열적인 이름은 단일한 정체성을 갖지 못한 이방인의 표식을 말해준다. 아버지와 시장을 다녔던 어린아이에서 열정적인 첫사랑을 한 10대 소녀, 두 아들의 엄마, 후손들의 고단한 삶을 지켜보는 할머니가 된 여자의 일생엔 한국 근현대사의 상흔이 배여 있다. 역사가 무고한 개인에게 준 고통과 아픔은 감당하기 어려운 것이지만 삶은 지속되었다. 이 소설은 일본 합병 후 “훈이의 어부 아버지 와 어머니는 먹고사는 문제가 제일 중요한, 신체 건강하고 검소한 서민일 뿐이다. 나라를 팔아먹은 썩어 빠진 통치자들이나 무능한 양반들하고는 아무 상관이 없었다”라는 주제의식이 표출된다.

이주남성의 생존과 여성 수난의 서사

『파친코』는 이삭, 고한수, 노아, 모자수, 솔로몬 등 이주남성의 생존투쟁과 삶의 고투, 양진, 선자, 경희의 여성 수난 서사를 균등하게 배치하면서 거대한 역사에 휘말린 개인의 운명과 극복을 객관적이고 설득력 있게 그린다. 또한 식민지 상황, 비스킷과 쇳가루로 표상되는 군수물자, 복희 자매의 위안부 사연, 원폭피해 등의 역사적 사건이 개인의 삶과 유기적으로 연동되면서 이방인에 대한 박해와 차별이 자행되는 일본사회를 해부한다. 노아와 솔로몬의 삶을 통해 반다문화적 시선, 이방인 차별, 편견과 배제의 원리가 작동되는 일본의 폐쇄성과 자국민중심주의, 환대하거나 배려하지 않는 태도 등이 역사학을 전공한 이민진의 관점에서 섬세하게 전개된다. 역사가 선량하고 무고한 개인의 운명에 개입되고 깊은 영향을 미쳤지만 고난과 운명을 개척하고 정착하고자 하는 인간의 생존에 대한 아름답고 긍정적인 삶의 모습을 그린 『파친코』는 전세계 독자에게 공감과 감동을 준다.

이미림
글 / 이미림

강릉원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문학박사, 1962년생

저서
『월북작가소설연구』 『내 마음의 산책』 『책 읽어주는 여자』
『내 안의 타자를 찾아서』 『우리 시대의 여행소설』 『한국현대소설의 떠남과 머묾』
『21세기 한국소설의 다문화와 이방인들』 등

  • 본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입니다.
  • 본 콘텐츠는 사전 동의 없이 상업적 무단복제와 수정, 캡처 후 배포 도용을 절대 금합니다.
작성일
2022-09-27

소셜 댓글

SNS 로그인후 댓글을 작성하시면 해당 SNS와 동시에 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