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필자의 「1920~30년대 대중잡지에 나타나는 음식 표상」(한국학연구 44, 2017. 2)의 일부분을 바탕으로 하여 재서술한 것입니다.
1920년대의 음식문화
초창기의 근대적 요리책인 조선요리제법 (1917)과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1924)만 보더라도, 음식을 만드는 주체는 가문이며, 음식이 제공되는 대상은 손님이며, 음식의 의미는 접대의 성공 여부에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1920년대에 이르면 음식은 손님에 대한 가문의 접대라는 전통적인 의미망과 함께, 음식의 가치는 인간 활동을 위한 영양 제공에 있다는 영양학적 생리학적 의미망이 새롭게 대두하게 된다. 영양소, 열량(칼로리), 에너지 대사를 중심에 놓고 음식을 바라보게 됨으로써, 음식을 제공하는 가문이 아니라 음식을 섭취하는 개인이 중요하게 부각된 것이다. 아울러 1920년대의 음식문화에서 매우 흥미로운 사실은, 손님 접대와 영양 섭취와 구별되는 음식의 레퍼토리들이 구성되면서 취향(taste)의 영역이 형성되어 가고 있다는 점이다. 1920년대 중후반의 야식이나 간식들은 구별 짓기를 통해 유행의 체계를 형성했고 취향의 주체들을 호명하고 있었다.
(左) 조선요리제법 제8판(1937) 복각본 표지
(右)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구루마에 끌고 다니는 「왜국수」 장사가 생긴 것은 오래된 옛 이야기요 약식장사가 두부장사처럼 외치고 다니는 것도 벌써 헌 이야기가 되었지만 이번[1927년-인용자] 세밑(歲末)에는 「뜨끈따끈하구료」 「맛보고 사 잡수시오」 하고 밤 깊은 골목을 요란히 외치고 다니는 감주(甘酒)장사도 생겼다. 딴은 북촌 일대의 좁은 골목거리(원동 계동 재동 화동 연동 소격동 삼청동 효자동 등)의 평생 하숙촌으로 열시 열한시쯤 하여 이름도 달큰한 감주를 팔러 다니면 술맛 모르는 학생들에게나 사랑에 낯붉히고 앉은 나이 어린 애인(愛人)들에게 「칼피스」 이상의 고마운 맛이 있을 것이니 눈 내리는 겨울 밤 남녀 손목 잡고 「감주 사먹기」란 분명히 무진년두(戊辰年頭)[1928년]의 새 유행의 하나일 것이다.1)
1) 성서인(城西人), 「감주와 막걸리」, 별건곤 11, 1928. 2, 111-2면. 독자의 편의를 위해 현대어와 한글 표기로 바꾸어서 인용함. 이후 동일한 방식으로 인용함.
1920년대에 유행한 음료들
1920년대의 서울 북촌에는 하숙이 성행했고 밤에 먹는 음식의 종류도 다양해졌다. 자정 넘은 시간까지 거리를 배회하는 여학생들이 기자들의 눈에 띄기도 했으며, 하숙집을 오가며 데이트하는 청춘남녀들은 칼피스를 마시며 시간을 보냈다.2) 구루마에 끌고 다니는 왜국수와 고학생들이 팔러 다니는 약식(藥食)은 1920년대 초중반에 이미 등장했고, 귤장사�약장사�만두장사 등이 잇달아 등장해서 경성의 밤거리를 옮겨 다녔다.3) 유행 음료로는 칼피스, 라무네, 사이다, 시토론, 평야수(平野水) 등과 같은 탄산음료를 빼놓을 수 없다. 칼피스는 우유를 발효시켜 만든 유산균 음료이고, 라무네와 시토론은 물에 과즙과 포도당을 넣은 레모네이드 풍의 음료이며, 평야수는 설탕·과즙·향료가 들어가지만 천연탄산수를 베이스로 한다는 특징이 있었다.4)
이 시기 음식 유행의 면밀한 관찰자는, 1927년 연말에 감주(식혜)를 팔러 다니는 장사꾼이 새롭게 등장했음을 기록하면서, 1928년에는 따듯한 감주 사 먹기가 연인들 사이에서 유행이 될 것임을 자신 있게 예측하고 있다. 따듯한 감주의 달짝지근한 맛이, 데워서 마시기 어려운 유산균 음료인 칼피스의 조금은 시큼한 맛과, 서로 구별되는 관계를 설정하며 미각의 차원에서 대체가능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고 있는 것이다.
2) 북웅(北熊)�파영(波影), 「자정 후에 다니는 여학생들」, 별건곤 11, 1928. 2, 123-126면
3) 북웅(北熊)�파영(波影), 「밤세상�사랑세상�죄악세상」, 별건곤 11, 1928. 2, 114-1115면
4) 송금선(宋今璇), 「여름과 조선인의 식물(食物)」, 별건곤 30, 1930. 7, 106-107면.
그 시대의 아이스크림들
여름에는 ‘에이쓰 꾸리잇!’을 외치며 아이스크림을 파는 장사꾼이 경성의 거리를 돌아다녔다. 여름철의 대표적인 기호 음식은 뭐니 뭐니 해도 아이스크림, 밀크셰이크, 빙수였다. 특히 빙수는 아이스크림과 밀크셰이크와의 변별성 속에서 독특한 취향의 영역을 구축하고 있었다. “여름의 얼음 맛은 아이스크림에보다도 밀크셰이크에보다도 써억써억 갈아주는 「빙수」에 있는 것이다.”5) 1929년 별건곤에 수록된 「빙수」는 가히 초절정 빙수 마니아의 글이라 할 만하다. 글쓴이는 빙수의 맛을, 키스의 맛 또는 사랑하는 사람의 부드러운 혀끝 맛에 비유하고 있다.
빙수에는 바나나물이나 오렌지물을 쳐 먹는 이가 있지만은 얼음 맛을 정말 고맙게 해주는 것은 새빨간 딸기물이다. 사랑하는 이의 보드라운 혀끝 맛 같은 맛을 얼음에 채운 맛! 옳다 그 맛이다. 그냥 전신이 녹아 아스러지는 것 같이 상긋하고도 보드랍고도 달큼한 맛이니 어리광부리는 아기처럼 딸기 탄 얼음물에 혀끝을 가만히 담그고 두 눈을 스르르 감는 사람 그가 참말 빙수 맛을 향락할 줄 아는 사람이다. 경성 안에서 조선 사람의 빙수집 치고 제일 잘 갈아 주는 집은 내가 아는 범위에서는 종로 광충교 옆에 있는 환대(丸大)상점이라는 조그만 빙수점이다.6)
1920년대 경성의 거리에는 식용색소를 뿌린 색동빙수, 건포도 몇 알을 고명으로 올린 빙수, 흑설탕을 콩알처럼 얹은 빙수 등이 이미 자리를 잡고 있었다. 우리들이 일반적으로 접해왔던 빙수의 종류는 1920년대 후반 경에 거의 대부분 선을 보였던 셈이다. 빙수는 취향에 따라 바나나물과 오렌지물과 딸기물을 선택할 수 있고 얼음의 양감과 질감에서 미세한 차이를 빚어내는 기호 음식이었다. 단순히 시원한 맛으로만 먹는 음식이 아니라 가히 취향을 논할 수 있는 음식이었던 것이다. “얼음 맛에 부족이 있거나 아이스크림보다 못한 것 같이 생각나는 사람이 있으면 빙수 위에 닭 알(鷄卵)한 개를 깨쳐서 저어 넣어 먹으면 족하다.”7) 특히 빙수와 날계란의 조합은, 필자가 과문한 탓이기도 하겠지만, 이제껏 들어보지 못한 방법이다. 빙수를 둘러싼 취향의 체계와 빙수 가게들의 차별화 전략이 1920년대 후반 경성의 여름 속에 자리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빙수와 에로티시즘을 연결 지을 정도로 섬세하면서도 격렬한 취향을 지니고 있었던 사람은 누구였을까. 다름 아닌 소파 방정환이다.
(左)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의 표지
(右) 동아일보에 나온 아이스크림 장사꾼
5) 영파생(影波生), 「빙수」, 별건곤 22, 1929. 8, 92면.
6) 위의 글, 92-93면.
7) 위의 글, 93면.
1930년대의 경성
벤또(나무갑에 담은 것) 120전
실과[實果] 20전
초콜릿 20전
드로프스 10전8)
1930년대에 접어들면서 하이킹이 데이트의 새로운 형식으로서 세간의 관심을 끌었다. 하이킹 장소로는 봉은사, 남산, 신촌 정거장, 청량리, 세검정 등이 주로 거론되었는데 산을 타고 강을 건너는 자연체험이 가능하고 교통 접근성이 확보되어 있는 곳들이었다. 하이킹이 유행하기 이전부터 교외를 찾아 자연을 즐기는 소풍이나 피크닉과 같은 나들이 형식이 자리를 잡고 있었고, 기차를 타고 조금 멀리 나간다면 지방의 온천장에도 다녀올 수 있던 시절이었다.
이 시기의 하이킹은 하이킹 본연의 도보여행으로서의 성격은 희석되고 교외 데이트와 크게 다를 바가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이킹이 매력적일 수 있었던 이유 가운데 하나는 음식에 있었다. 남녀가 함께 하이킹을 나설 때에는 주로 남자가 음식을 준비를 했는데, 하이킹에 필요했던 음식은 일반적으로 나무 도시락, 과일, 초콜릿, 드로프스(drops)였다. 특히 드로프스는 하이킹의 형식을 상징적으로 대변하는 음식이라 할 수 있다.
이 시기의 하이킹이 교외 나들이와 별반 차이가 없는 것처럼, 실제적으로 드로프스도 사탕과 별다른 차이가 없다. 설탕과 물엿에 과즙 � 색소 � 향료가 첨가된 사탕의 일종일 따름이다. 하지만 포장을 열었을 때 뿜어져 나오는 과일향과 사탕이라고 번역되기를 거부하는 드로프스라는 기호는, 드로프스를 사탕이면서 동시에 사탕과는 다른 것으로 만든다. “드로프스는 등산할 때 어름사탕 대신 입에 무십시오.”9) 라는 조언에서 알 수 있듯이, 드로프스를 입에 넣는 순간 그 또는 그녀는 하이킹의 주체가 된다. 드로프스는, 별다른 차이는 없지만 왠지 그럴 듯해 보이는 것으로 하이킹을 만들어 낸다. 그것은 사탕을 가지고서는 도저히 할 수 없는 일이기도 하다. 기호화된 취향들이 1930년대 경성을 우회하듯이 가로지르고 있었던 것.
동아일보에 나온 도봉산 코스
8) 이서구(李瑞求), 「애인 데리고 갈 사랑의 ‘하이킹 코스’」, 삼천리 8-6, 1936. 6, 98-99면.
9) 위의 글, 9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