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자의 편지

아이를 바르고 똑똑하게 키우고 싶어요! - 맹자 편

철학자의 편지 맹자 편
* 본 콘텐츠는 dlwodnr7님이 《철학자의 편지 신청》에 작성해 주신 글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사연소개
"아이를 바르고 똑똑하게 키우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여섯 살 된 아들을 둔 부모입니다. 다들 그렇겠지만, 저는 아이가 너무 예쁘고 사랑스럽습니다. 어떤 행동을 해도 너무 귀엽기만 합니다. 그런데 모든 것이 좋게만 보이는데, 제가 과연 우리 아이를 제대로 보고 있는 것일까요?

저는 우리 아이가 예의 바르고, 현명하고, 사리분별도 잘 하는 아이로 키우고 싶은데, 걱정이 앞섭니다. 아이가 너무 예쁘다 보니, 우리 아이 잘못된 행동을 하는 데도 제가 잘 못 보는 것은 아닌지, 우리 아이가 제대로 커가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요즘 이게 고민입니다. 과연 아이를 잘 키운다는 것이 무엇일까요?
철학자의 편지
"부모 노릇,   사육사가 아닌 정원사가 돼야 한다네!"
자네의 사정을 듣다 보니 난 바로 내 어머니가 떠올랐다네. 아마 자네도 내 어머니 이야기를 들어보았을 것이네. 나를 제대로 가르치고 키우기 위해 세 번이나 이사했다는 이야기지. 아이를 키운다는 것, 그건 아마도 가장 행복한 일이면서 동시에 가장 어려운 일이지. 새삼 내가 이렇게 훌륭한 사상가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어머니의 지혜 덕분이라는 생각이 드네. 자네도 내 이야기를 들어보겠나?

혹시 자넨 내가 제자들과 함께 쓴 《맹자》라는 책을 읽어보았나? 나는 그 책에서 인간의 본성은 선하다는 ‘성선설’(性善說)과, 이러한 선한 본성에 따라 그것을 실현하는 정치로서 ‘왕도정치’(王道政治)를 주장했네. 그런데 이 두 가지가 실은 같은 이야기라네. 그것들은 모두 내 삶의 경험으로부터 온 것이라네.

내가 태어나 처음 살던 곳은 공동묘지 근처였다네. 그렇다 보니 나는 늘 장사 지내며 곡(哭) 하는 사람들을 보며, 그게 신기해서 따라 하곤 했다네. 그 모습을 본 어머니께서 이건 아니다 싶으셨던지 이사를 하셨다네. 헌데 그곳은 시장 근처였네. 매일매일 물건을 사고파는 사람들, 소리 높여 흥정하는 사람들로 북적대었다네. 게다가 여기저기에서 온 장사꾼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는 참 재미있었다네. 난 그게 재미있어서 멋도 모르고 따라 하곤 했지. 어느 날 장사꾼 놀이를 하는 모습을 어머니께서 보시고는 또 이사를 가게 됐지.

그래서 가게 된 곳이 서당 근처였다네. 처음엔 시장의 장사꾼들이 들려주는 이야기에 비하면 서당에 드나드는 사람들은 재미가 없었다네. 그런데 신기하게도 그 사람들이 손에 들고 다닌 책에는 장사꾼들의 이야기보다 훨씬 더 넓은 세상, 수많은 이야기들이 가득했다네. 그 때부터 내 관심이 바뀌어버린 것이지. 아주 오랜 옛날 태평성대를 열었던 요(堯) 임금과 순(舜) 임금에 얽힌 놀라운 이야기를 듣고, 과거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전통을 배우고 이것을 몸에 익히면서 나는 서당에서 공부하는 사람들을 닮아가기 시작했다네.

아마도 사람들은 이런 얘기를 하면 자녀 교육에서 환경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할 것이네. 물론 그 말은 맞는 말이네. 하지만 반만 맞는 말이지. 그것은 내 어머니의 지혜를 제대로 알아보지 못한 것이네. 환경만큼이나 중요한 게 사람의 본성이라네. 사람은 누구나 일정한 본성이 있다네. 마치 콩을 심으면 콩이 나고, 팥을 심으면 팥이 자라나는 이치와 같다네. 콩이 팥으로 자라나는 일은 없다네. 그것이 사람의 본성이라네. 그런데 이 본성은 환경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네.

정원사는 자신이 가꾸는 정원의 나무와 풀 하나하나의 본성을 잘 안다네. 어떤 풀은 햇볕이 너무 강하면 오히려 좋지 않기에 담장 옆에 심어두고, 어떤 나무는 햇볕이 잘 드는 마당 한 가운데에 심어 가꾼다네. 이는 환경이 적당한 곳에 있을 때 잘 자라난다는 뜻이라네. 사람의 본성 또한 적절한 환경을 만날 때 잘 성장한다네.

호랑이나 원숭이를 기르는 사육사는 이와 다르다네. 사육사는 호랑이의 야성이 발휘되지 않게 고기도 잡아서 주고, 성을 내지 못하게 하는데 주안점을 둔다네. 이리저리 말썽을 피우는 원숭이도 마찬가지라네. 사육사가 원하는 대로 온갖 조건과 회유, 반복을 통해 원하는 행동을 하도록 훈육한다는 것이네.

내 어머니는 내가 어떤 사람이 되게 해야겠다는 생각으로 좋은 환경을 찾은 것이 아니라네. 처음 공동묘지 근처에 살 때나 시장 근처에서 살 때나, 내 또래의 아이들은 병정놀이를 하며 놀았다네. 나는 그런 점에서 조금 달랐던 것이지. 난 주변 사람들의 말과 행동을 관찰하고 따라 하면서 이해하고 싶었던 것이네.

내 어머니가 지혜로우셨던 것은 바로 거기에 있네. 정원사가 각각의 화초마다 적절한 햇볕과 수분이 달리 하며 잘 자라게 하듯이, 내 어머니 또한 내가 어떤 성향과 관심을 가졌는지를 보고 그에 맞는 환경을 선택한 것이네. 주변 사람과 일에 대해 궁금해 하고 따라 하려는 내 모습을 보고 그에 적절한 환경을 찾으신 것이지. 공동묘지 근처에서 곡하는 사람을 따라 한 것이나, 시장에서 장사꾼을 따라 한 것이나, 서당을 오가는 사람들을 따라 한 것은 모두 같은 종류의 생각과 관심이라네. 주변의 일과 사물을 관찰하고 배우려는 내 성향을 보고 어머니는, 그 성향에 맞으면서 가장 좋은 것을 택한 것이라네.

아이를 바르고 똑똑하게 키우려 한다면 먼저 아이의 성향을 살피게. 그건 하루 이틀의 일이 아니라 몇 년에 걸쳐 이루어져야 한다네. 아이가 원하는 게 뭔지, 잘 하는 게 뭔지, 그리고 그런 관심과 성향에 가장 맞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해 보게나. 사회도 마찬가지라네. 성선설에 기반한 왕도정치도 결국 같은 이야기라는 뜻일세.

부모 노릇은 훌륭한 정원사가 되는 과정이라네. 사육사는 그렇지 않다네. 사육사는 호랑이와 원숭이를 자신이 원하는 대로 길들이고자 한다네. 내가 공부한 유학(儒學)의 가르침이 바로 이런 것이라네. 유학에서 말하는 교육은 가정(家)와 사회(國)라는 정원을 가꾸는 일과 같다네. 경제나 사회적 단위가 아니라네.

사육사가 되지 말고 정원사와 같은 부모가 되어보는 것이 어떻겠나?
공자마을 곡부(曲阜)에서 멀지 않은 추현(鄒縣)에서
맹자(孟子)가
오늘의 철학자
정원사의 철학을 외친 맹자(孟子)
맹자 사진
맹자(孟子)는 기원전 372년 지금의 산동성(山東省) 추현(鄒縣)에서 태어나 289년까지 살았던 대표적인 유가(儒家) 사상가로, 이름은 가(軻), 이고 자는 자여(子輿) 또는 자거(子車)이다.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어려운 환경에서 성장하였으며, 공자의 손자 자사(子思)의 제자에게 배워 시(詩)와 서(書)에 능했다 한다. 그의 어머니 장씨는 지혜로운 어머니(賢母)의 표상으로 맹자의 교육을 위해 세 번 이사했다는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는 잘 알려져 있다.

맹자의 사상은 그가 남긴 《맹자》 7편을 통해 전해지는데, 송(宋) 나라 때 유학이 흥성하면서 주자학(朱子學)에서 《논어》, 《대학》, 《중용》과 함께 ‘사서(四書)’의 하나가 되어 널리 읽혔다. 맹자는 인간의 본성(本性)은 본래 선(善)하다는 성선설(性善說)을 주장하였는데, 이것은 사람이면 누구나 갖는 4가지 본래의 마음을 가리킨다. 다른 사람을 불쌍히 여기는 측은지심(惻隱之心), 자신의 잘못된 행동을 부끄러워하고 남의 잘못된 행동을 미워하는 수오지심(羞惡之心), 타인에게 양보할 줄 아는 마음인 사양지심(辭讓之心), 옳고 그름을 분별할 줄 아는 시비지심(是非之心)이 그것이다. 맹자는 이러한 본성을 잘 기르는 것이 사회의 지도자의 가장 중요한 책무이며, 이러한 마음을 통해 천하를 다스리는 것을 왕도정치(王道政治)라 불렀다. 그리고 군주가 이러한 왕도정치를 행할 때 바르고 좋은 사회가 도래할 것이라 주장했다.
철학자의 한마디
"가르치려 하기 보다  사랑으로 보살펴라"
제자 공손추가 말했다. “왜 군자는 자식을 직접 가르치지 않는다고 하는 것입니까?”
맹자가 대답하였다. “현실의 여건이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가르치는 사람은 반드시 자신이 올바르다 생각하는 것으로 가르치려 하는데, 자식이 그 가르침에 따라 행하지 않으면 아이에게 화를 내게 되고, 부모가 화를 내면 아이의 마음이 상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아이는 ‘부모님이 나를 올바르게 가르치려 한다 하지만 정작 가르치는 방식은 올바르지 않구나’ 하고 생각하게 된다. 결국 부모와 자식이 서로 마음을 상하게 된다. 이렇게 부모와 자식이 서로의 마음을 상하게 되는 것은 좋은 일이 아니다. 그러므로 옛날에는 서로 자식을 바꾸어 가르친 것이다. 부모와 자식 간에는 올바른 일을 행하라고 하면서 질책을 하는데, 그래서는 안 된다. 부모와 자식 간에 올바른 일을 행하라고 질책하기만 하면 사이가 멀어지는데, 부모와 자식 사이가 멀어지는 것보다 더 나쁜 일은 없다.”

맹자는 부모와 자식 사이에는 가르치려 하지 말라고 조언한다. 이 말은 부모가 자식에게 어떤 가르침도 줄 수 없다는 뜻이 아니다. 부모의 마음이 자식에게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대하지 못할 수 있기에 조심하라는 뜻이다. 사람은 종종 다른 사람에게는 관대하면서 자신의 자식에게는 엄격할 때가 있다. 또 거꾸로 어떤 때에는 자식에게는 무한정 관대하면서 다른 사람에게는 엄격할 때가 있다. 그런데 자식에게는 바로 이렇게 다르게 드러나는 행동 자체가 자식에게는 살아있는 교육이 된다는 말이다.

맹자는 조장(助長)하지 말라는 이야기를 통해 또 다른 교훈을 남기고 있다. 옛날 송(宋)나라에 어리석은 농부가 모내기를 한 후 벼가 얼마나 자랐는지 궁금해 논에 가보니 벼가 다른 사람의 것보다 덜 자란 것처럼 보였다. 그래서 농부는 벼의 새순을 잡아 빼어 쑥쑥 자라게 도와주었다(助長). 집에 돌아와 가족에게 이 일을 이야기하자 딸이 기겁하여 논에 가보니 벼는 이미 말라 죽어버렸다.

이 ‘조장’(助長)이란 말 속에는 사람의 본성과 부모의 자식 교육 모두에 해당하는 중요한 교훈이 들어 있다. 억지로 자신의 뜻에 따라 상황을 만들어 내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뜻이다. 그래서 학자들은 맹자의 사상을 ‘정원사의 철학’이라 부르기도 한다. 정원사는 나무와 풀 하나하나가 어떤 본성을 가졌는지를 파악하는데 관심을 두고, 그에 적절한 환경을 주며 돌볼 뿐 자신의 의지에 따라 만들려고 하지 않는다. 그러면 그 나무와 풀에서는 아름다운 꽃과 열매를 맺게 된다.

이런 정원사의 사랑이 오늘날 자식 교육에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요긴한 지혜가 아닐까?
철든생각, 당신은 어떤 부모입니까?, 아이가 가야할 길을 아이의 생각은 듣지 않고 마음대로 정해서 달려가는 부모, 아이를 바라보며 함께 대화하고 아이가 나아갈 길을 함께 걸어가는 부모, 진정한 교육은 끌고 가는 것이 아니라 함께 가는 것이다.
김시천(경희대학교 교수)
구성
이은지(작가)
그림
박동현(만화가)
  • 본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입니다.
  • 본 콘텐츠는 사전 동의 없이 상업적 무단복제와 수정, 캡처 후 배포 도용을 절대 금합니다.
작성일
2014-09-11
광화문에서 읽다 거닐다 느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