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자의 편지

고민 없는 삶이 고민이에요! - 왕필 편

철학자의 편지 왕필편
* 본 콘텐츠는 cjfgkrwk님이 《철학자의 편지 신청》에 작성해 주신 글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사연소개
"고민 없는 삶이  고민이에요!"
이제 막 20살이 된 대학생입니다.

아직 입학하기 전이지만 같은 과에 합격한 친구들끼리 카페를 만들어 모임을 하고 있어요. 거기에서 친구들이랑 술도 먹고, 고민도 상담하고 꿈 이야기도 하게 됐는데요.

사실 전 다른 친구들과는 달리 특별한 고민도 없이 순탄하게 살아왔거든요. 그런데 주변 친구들은 다들 나름대로 심각한 고민을 털어놓는 거예요. 이러다 보니 다른 친구들이 저에게 속을 모르겠다, 자신을 숨긴다는 둥 거리를 두는 거예요.

근데 전 진짜 털어놓을만한 비밀이나 고민이 없거든요. 진짜 고민이 없는 것도 고민이네요.

철학자님~ 명쾌한 조언 부탁 드려요~
철학자의 편지
"자네가 인생을 살면서
고민이 없는 이유를 알고 싶은가?"
허허허. 먼 미래의 젊은이들은 별 것이 고민이라 묻는구먼. 처음 편지를 봤을 때는 솔직히 자네의 삶이 부럽기 그지없었다네. 그러나 곧 생각을 고쳐먹었지. 자네가 수 천 년을 거슬러 나에게 편지를 쓸 정도라면 오죽 답답해서 보내지 않았겠는가? 어쩌면 주변의 친구들은 모두 고민을 갖고 있는데 나만 고민이 없다니 무언가 잘못된 것인가 하고 생각할 수도 있을 걸세. 그러나 그것은 자네가 ‘무’(無)를 체득한 것과 통하는 삶을 살고 있기 때문일세.

내가 어렸을 때의 일이라네. 당시 나는 조정에서 인사 책임자 하안(何晏)이라는 사람을 만난 적이 있다네. 그런데 그 사람이 나를 특별하게 생각했는지 뜬금없이 내게 이렇게 묻는 것이었네. “성인(聖人)에게는 기뻐하고 분노하고 슬퍼하고 즐거워하는 등의 인간적인 감정(情)도 없다고 생각하는데, 자네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라고 말일세.

난 평소에 생각하던 바대로 거침없이 대답했다네. “성인이신 공자는 인간적인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게 아닐 것입니다. 오히려 성인 또한 평범한 인간과 마찬가지로 기쁨과 슬픔 분노와 즐거움을 모두 느끼는 사람이었을 것입니다. 다만 공자는 그러한 감정에 사로잡혀 감정의 노예가 되지 않았을 뿐입니다. 그러니 마치 감정이 없는 것처럼 보였을 뿐입니다.” 라고 대답했다네. 나는 이 일로 아주 유명한 사람이 되었지.

혹시 자네의 문제와 지금 내 얘기가 무슨 상관이 있는가 하고 의아해 하고 있나? 하지만 가만히 들어보게. 어찌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에게 고민이 없을 수 있겠나? 모든 사람에게는 다 나름의 고민이 있기 마련이라네. 다만 그 고민에 사로잡혀 사는 사람과 사로잡히지 않고 살아간다는 차이만 있을 뿐이지.

사람은 생각하며 살아가는 존재라는 것은 분명 맞는 말이라네. 하지만 사람이 무언가에 골똘하게 생각한다는 것은 사실 걱정거리가 있다는 말과 다를 바가 없다네. 그래서 한의학(漢醫學)에서는 생각한다는 뜻을 가진 말 ‘사’(思)를 걱정한다는 뜻으로 풀이한다네. 그리고 그것은 병으로 이어진다고 보는 것이지.

자, 한번 예를 들어보겠네. 내가 나라를 다스리는 왕이라고 가정을 해 보세. 왕이라면 어떤 고민들이 있겠나? 어떤 지역에 가뭄이 들었거나 어떤 지역에 홍수가 나서 백성들이 굶주리거나 죽는 상황이 생겼다면 왕으로서 큰 고민이 되지 않겠나? 말하자면 고민이 있다는 것은 곧 내가 처한 상황이 좋지 않다는 것을 뜻한다네.

거꾸로 생각해 보세. 내가 왕인데 도무지 고민거리가 전혀 없다네. 그건 무엇을 뜻하는 것인가? 아마도 나라의 정치가 안정되고 특별한 재난이나 사건이 없기 때문에 신경 쓸 일이 없다는 뜻 아니겠나? 따라서 고민거리가 없다는 것은 개인적으론 행복하고 사회적으로는 평안하다는 징표가 되는 것이라네.

물론 자네가 전혀 부유하거나 여유로운 상태가 아닐 수도 있겠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민이 없다면 그건 더더욱 타고난 자네의 복일세! 많은 사람들은 오히려 고민한다고 해서 해결될 문제가 아닌데도 물건을 부수고 술로 마시고 소리를 지르며 감정을 폭발 시키지 않는가?

혹시 자네가 이런 돈도 안 되고 약도 안 되는 고민이 가지고 싶은 이유가 벗들과의 관계 때문이라면 이렇게 해보는 건 어떠하겠는가? 내 살아보니 인생을 나눌 진정한 벗이 꼭 고민을 나눠야만 생기는 것은 아니더군. 오히려 자네가 친구들에게 성인(聖人)이 돼 줘보게. 아니 어찌 자네가 공자나 맹자와 같은 성인이 되냐고? 사실 성인은 커다란 귀로 다른 사람이 말하는 고민을 들어주는 사람이란 뜻이라네. 그래서 ‘성’(聖)이란 한자에 ‘귀’(耳) 옆에 ‘입’(口)가 있는 것이지.

다른 사람의 고민을 잘 들어준다는 것, 그것은 분명 쉽지 않은 일이라네. 자네 태생이 별다른 수련 없이도 감정에 얽매이지 않아 걱정이 없는 것을... 없는 고민 사서 만들 시간에 오히려 친구들의 고민을 진심으로 잘 들어준다면 그 또한 벗과 함께 정을 나누는 길이 아니겠는가?
산양현에서
왕필(王弼)이
오늘의 철학자
인간의 마음을 통찰한 사상가 왕필(王弼)
왕필 사진
조조와 유비로 유명한 소설 <삼국지>(三國志) 시대에 태어난 왕필(王弼, 226-249)은 24살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난 천재로 불리는 사상가이다. 그는 이미 10대 후반에 <노자>(老子)에 대한 유명한 주석서를 냈고, 20살 즈음에는 <주역>(周易)에 주석을 해서 해석의 방향을 바꾼 사람이다.

그리고 죽기 전에는 <논어>(論語)에 주석을 하였는데 이 책만은 전해지지 않고 일부만 남아 있다. 왕필은 한(漢) 나라 때의 형식적이고 비합리적인 세계관을 비판하면서, 인간의 마음(心)의 놀라운 능력을 바탕으로 합리적이고 도덕적인 세계를 꿈꾸었다. 특히 인간의 마음이 발휘하는 감정의 능력은 인간 사회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중요한 동력이라 주장하였다.
철학자의 한마디
"아름다움과 추함이란 사람이 기뻐하는 것과 화내는 것과 같고,  
좋은 것과 좋지 않은 것이란 옳고 그름과 같다.

즉 인간이 느끼는 기쁨과 분노는 그 뿌리가 같고,
옳고 그름이라는 것 또한 그 생겨나오는 곳이 동일하다.
(그것은 바로 인간의 마음이다.)
"
왕필은 인간을 희노애락(喜怒哀樂)을 느끼며 사는 존재로 이해하였다. 우리가 사회적으로 올바른 가치와 규범으로 여기는 것들도 실은 이러한 인간의 마음이 느끼는 감정의 형태가 수많은 세월을 거치며 이루어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인간이 어떤 것을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은, 어떤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현상이 아니라 오늘날의 말로 하자면 오랜 진화와 경험의 산물이다. 왕필은 이런 인간의 심리적 특성 가운데 부모와 자식간의 사랑의 감정(慈孝)을 확장하면 사회의 조화를 이루는 포괄적인 사랑(仁)의 철학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철든생각, 공자:'그건 제가 가장 아끼는 도자기...' 손님1이 도자기를 깨뜨리며 당황한다. 공자:'허허허 괜찮소,괜찮소' 손님1과 손님2를 배둥하며 공자:'잘들 가시게나', 손님1:'역시 공자는 성인인가 보오.', 손님2:'아까 그 평점심 보았소?'  그후 공자는 도자기를 고친후 절대 만지지 말라는 안내문을 붙여둔다. 성인과 보통사람의 한 끗 차이. 감정을 주도 하는가?, 감정에 지배되는가?
최훈(강원대학교 교수)
구성
이은지(작가)
그림
박재수(만화가)
  • 본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입니다.
  • 본 콘텐츠는 사전 동의 없이 상업적 무단복제와 수정, 캡처 후 배포 도용을 절대 금합니다.
작성일
2014-03-27

소셜 댓글

SNS 로그인후 댓글을 작성하시면 해당 SNS와 동시에 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광화문에서 읽다 거닐다 느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