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 책을 읽다

우리의 일상에서 수학을 뺀다면?

다큐 책을 읽다 : 우리의 일상에서 수학을 뺀다면? 다큐 책을 읽다 : 우리의 일상에서 수학을 뺀다면?

흔히 나라의 경제 규모나 예산안을 이야기할 때 조 단위가 오르내린다.
1,000,000,000,000원! 그런데 1조란 대체 얼마나 큰 돈일까?
어느 은행 직원은 1조라는 금액을 “단군신화 때부터 지금까지 매일 60만 원씩을 사용해도
여전히 원금이 남아있을 정도”라고 설명하는가 하면,
실제로 1조를 다 쓰려면 하루 1천만 원씩 쓴다 해도 무려 274년의 시간이 걸릴 정도다.

이렇게 눈으로 볼 수 없는 수치이더라도 우리가 측정하고 이야기할 수 있는 이유,
바로 ‘수학’이라는 학문이 있기 때문이다.

  •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재생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동영상 재생이 안 될 경우 FAQ > 멀티미디어 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역사 속 패러다임을 바꾸는 놀라운 수학의 세계

역사 속 패러다임을 바꾸는 놀라운 수학의 세계 역사 속 패러다임을 바꾸는 놀라운 수학의 세계

우리의 삶 곳곳에 숨어있는 수학 찾기

인류의 역사는 물론 현재 우리의 삶 역시 수학을 빼고는 쉽게 논할 수 없다. 그 옛날 원시인은 식량의 개수를 세기 위해, 양치기는 자신이 키우는 양이 빠짐없이 돌아왔는지 확인하기 위해 숫자가 필요했다. 실생활의 필요에 의해 수의 개념이 탄생하게 된 것인데, 수학자들은 이렇게 수학이 우리 생활의 모든 곳에 존재하며 앞으로 펼쳐질 세상에도 그 쓰임은 점점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한다. 특히, 예측을 요구하는 모든 질문에서 반드시 필요한 학문이 바로 수학이다. 코로나 19의 대유행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전염병의 확산이 언제 끝날지, 확산 방지 노력은 어떻게 효과를 낼 것인지 등을 예측하는 것은 물론, 신생아의 수명이나 선거 여론 조사 결과 예측, 금융 보안에 이르기까지 수학은 무엇이든 예측할 수 있고 우리 일상 곳곳에서 만날 수 있다.

과학자보다 먼저 지구의 비밀에 접근한 수학자

아주 오래 전부터 인류는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의 모양과 크기에 대해 많은 궁금증을 품어왔다. 지구가 둥글다고 믿었던 탐험가들은 직접 바다를 항해하며 이를 증명하려 했고, 과학자들은 우주선을 개발해 마침내 둥근 지구의 모습을 확인했다. 그런데 그보다 훨씬 이전에 이미 지구의 모양과 크기를 예측한 사람이 있었으니, 바로 수학자 에라토스테네스였다. 그는 달라지는 그림자의 모습에서 시작된 의문을 풀기 위해 막대기 하나를 세워 지구의 크기를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그 측정치는 추후 밝혀진 실제 지구의 크기와 큰 차이가 없었을 정도로 정확했다. 이렇듯 수학은 우리에게 생각보다 많은 것들을 알려주며 역사 속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 늘 존재해왔다.

수학자들은 생각보다 많은 것을 알고 있다?

지금 우리에겐 어떤 향기가 필요할까? 지금 우리에겐 어떤 향기가 필요할까?

전쟁의 수단이 되어버린 수학의 두 얼굴

그렇다면 수학은 세상을 이해하는 긍정적인 도구이기만 할까? 정확한 답이 정해진 수학에도 윤리적 문제는 엄연히 존재한다. 20세기 수학자 존 폰 노이만은 폭탄이 지상에 떨어지기 전에 폭발하면 피해가 더 클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구체화해 실제 원자폭탄을 개발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수학이 순수 학문이기에 아름답고 가치있다고 생각했던 수학자 고드프리 하디의 생각과는 달리, 그의 제자 앨런 튜링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패망의 큰 역할을 한 유능한 암호 해독자로 활약하기도 했다. 그는 24시간마다 암호 체계를 바꿔 공격을 조종하던 독일군의 암호생성기에 맞서 새로운 암호해독기를 개발해 종전을 최소 2년 앞당기고 무고한 희생을 줄였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수학을 전쟁에 이용했다는 논란은 피해갈 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에게 수학이 필요한 이유

수학자 김민형 교수는 “수학하는 인간이 살아남는다”고 주장한다. 이는 수학이 여러 과학의 이론을 설명하는 언어이자 인공지능 중심의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더더욱 필수적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즉, 수학이 세상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순 없지만 수학 없이 풀 수 있는 세상의 문제 역시 없다는 말이다. 스스로 수학하는 사람이 될 것인지, 그렇지 않을 것인지는 우리의 선택이다. 공로가 있는가 하면 논란도 존재해온 학문, 수학. 미래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예측을 하는 것, 보이지 않는 수치를 이해하는 일 너머에 모두 수학이 존재한다. 이러한 사실에 기반해 생각해볼 때, 그간 수학의 득과 실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수학을 멀리하지 않아야 할 이유는 이미 충분하지 않을까?

우리의 일상에서 수학을 뺀다면? 우리의 일상에서 수학을 뺀다면? 우리의 일상에서 수학을 뺀다면?
[참고도서] <세상의 모든 수학> 에르베 레닝 저 / 다산사이언스
<다시, 수학이 필요한 순간> 김민형 저 / 인플루엔셜
  • · 본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입니다.
  • · 본 콘텐츠는 사전 동의 없이 상업적 무단복제와 수정, 캡처 후 배포 도용을 절대 금합니다.
작성일
2021-10-19
광화문에서 읽다 거닐다 느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