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탐방 길라잡이

막걸리 한 사발에 담긴 세월

 
세운상가, 세계의 기운을 담은 이름
세운상가, 세계의 기운을 담은 이름

전국에서 나비들이 모여드는 ‘종삼'은 어떤 곳일까?!

땀 흘리며 밭일을 하던 농부들의 고됨을 덜어주었던 우리의 전통주 막걸리.
찌그러진 막걸리 주둥이 사이로 졸졸졸. 농민들은 막걸리를 사발 가득 따라 마시며 삶의 무게를 견뎌냈다.


새 옷으로 차려입은 미지의 공간-1

<새참을 먹는 농민들(출처: 국가기록원)>

탁주라 불렸던 막걸리, 그 기록을 찾아서

우리 민족은 정확히 그 기록을 알 수 없을 정도로 아주 오래 전부터 막걸리를 마셨다. 막걸리라는 이름이 붙여지기 전엔 맑은 청주와 달리 탁하고 흐려 보인다는 이유로 주로 ‘탁주’라 불렸다. 처음으로 문헌에 등장하는 막걸리에 대한 기록은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075~1084년에 편찬된 가야의 역사책 《삼국유사》 <가락국기(駕洛國記)>에는 수로왕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해 ‘요례’를 빚었다는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요례에 쓰인 요(?)자는 탁주를 뜻하는 글자로 이것을 탁주류에 대한 첫 번째 기록으로 본다.

새 옷으로 차려입은 미지의 공간-2 새 옷으로 차려입은 미지의 공간-2

<가락국기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선화봉사 고려도경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고려 시대까지도 막걸리는 제 이름을 찾지 못했다.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은 북송의 사신 서긍(徐兢)이 1123년 고려를 방문해 보고 들은 내용을 기록한 역사서다. 서긍은 이 문헌에 “서민들이 맛이 떨어지고 빛깔이 짙은 술을 마신다”라고 기록했는데 이를 탁주, 즉 막걸리로 추정하고 있다. '막걸리'라는 이름이 처음 기록된 것은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다. 조선 후기에 편찬된 작자 미상의 어휘사전 <광물재보(廣才物譜)>에서 ‘막걸니’라는 표현이 등장한다. 이는 막걸리의 옛 표기로 마구 걸렀다는 뜻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막걸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소비자 취향이 다양해지면서 새로운 스타일의 막걸리가 등장하고 있는데, 신개념 막걸리에 도전하고 우리의 술 막걸리에 대한 관심을 넓혀보자.

(출처 : 다시세운프로젝트 공식 사이트)

막걸리카노

아메리카노와 막걸리가 만났다. 커피의 쌉쌀함에 부드러운 막걸리가 섞여 커피 마니아들과 막걸리 마니아 모두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캔에 담겨있어 맥주처럼 편리하게 마실 수 있는 것도 큰 장점.

(출처 : 다시세운프로젝트 공식 사이트)

붉은원숭이

쌀뜨물처럼 뽀얀 기존의 막걸리들과 확실히 차별화되는 제품이 나타났다. 과실이 들어간 것도, 색소를 첨가한 것도 아니라고 한다. 붉은색을 띠는 누룩곰팡이와 홍국쌀을 사용해 짙은 빨간색을 냈다.

(출처 : 다시세운프로젝트 공식 사이트)

호랑이 배꼽

호랑이 배꼽이 생산되는 양조장은 경기도 평택에 위치해 있다. 한반도를 호랑이 모양으로 봤을 때 평택은 배꼽 정도의 위치에 있어 이와 같은 귀여운 이름과 패키지 디자인을 고안했다.

(출처 : 다시세운프로젝트 공식 사이트)

느린마을 막걸리 사계

느린마을 양조장은 매장에서 직접 만든 막걸리와 안주를 제공하는 주점이다. ‘사계’는 막걸리의 숙성도에 따라 4종류로 분류해 계절을 이름 삼아 부르는 막걸리 라인업이다. 1-2일차는 봄, 3-5일차는 여름, 6-7일차는 가을, 8-10일차는 겨울이라 칭한다.

(출처 : 다시세운프로젝트 공식 사이트)

쌀 바나나

쌀로 빚은 술에 바나나를 넣은 국순당 쌀 바나나는 탄산이 더해진 바나나우유와 비슷한 목 넘김을 자랑한다. 살얼음이 낄 정도로 차갑게 마시면 밀키스, 사이다 못지 않은 달콤함과 청량함을 자랑한다.


다음 스팟을 보시려면 위의 이미지 숫자를 순서대로 눌러주세요.

글, 사진
공서연
  • 본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입니다.
  • 본 콘텐츠는 사전 동의 없이 상업적 무단복제와 수정, 캡처 후 배포 도용을 절대 금합니다.
작성일
2020-06-26
광화문에서 읽다 거닐다 느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