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 10.5센티미터, 세로 15.5센티미터. 각양각색의 두꺼운 표지와 그 가운데 위치한 국가 문장. 이 작은 책자는 외국을 여행할 때 우리의 신분을 증명하는 문서, 바로 여권이다. 1920년 국제연맹이 여권의 통일 모델을 채택하면서 오늘날 여권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는데, 이때 합의된 규정에 따라 앞쪽 4페이지까지는 개인 정보를 담고, 그 뒤 페이지는 출입국 심사 시 도장을 받거나 발급된 비자를 부착하는 사증 페이지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 사증 페이지에는 각 나라를 대표하는 이미지들이 삽화로 담겨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표적인 국보인 숭례문과 다보탑이 등장하고, 미국은 국가 이념을 상징하는 자유의 여신상과 독립선언서가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또 중국 여권에는 만리장성, 장가계 등 각 지역을 대표하는 명소들이 등장한다.
그런데 캐나다 여권에는 우리에게 다소 낯선 삽화가 담겨 있다. 31페이지. 잔뜩 찌푸린 얼굴로 힘겹게 달리고 있는 한 남성의 동상, 그는 누구일까?
-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영상을 보시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재생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동영상 재생이 안 될 경우 FAQ > 멀티미디어 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본 콘텐츠는 역사적 사건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일부 내용은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1980년 4월 12일, 한 청년이 캐나다 동부 끝에서 서쪽을 향해 달리기를 시작했다. 그런데 그의 달리는 모습이 좀 남달랐다. 오른발로 땅을 한 번 구른 다음, 왼발로 두 번 땅을 구르며 힘겹게 달리고 있는 청년.
그렇다. 왼쪽에 비해 앙상한 청년의 오른쪽 다리는 의족이었다. 그래서 양발의 보폭을 맞추기 위해 의족으로 한 번, 다른 발로 두 번 땅을 디뎌야만 했던 것이다. 청년은 이렇게 매일 40킬로미터를 서쪽으로 달려갔다.
그는 왜 불편한 몸으로 달리기를 하고 있었던 걸까?
하지만 그의 달리기는 곧 멈추었다. 1980년 9월 1일, 마라톤을 시작한 지 어느덧 143일, 총 8,000킬로미터의 여정 중 5,373킬로미터를 지나던 도중 기침과 가슴 통증을 호소하며 쓰려졌던 것이다. 진단 결과, 재발한 암세포가 폐까지 전이되어 있었다.
이듬해인 1981년 6월, 그의 마라톤은 영원히 중단되고 말았다. 하지만 암을 극복하려는 테리 폭스의 의지만은 멈추지 않았다.
한 나라의 역사, 문화는 물론 추구하는 가치까지 담은 여권. 그중에는 표지만으로 국가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나라도 있다. 바로 뉴질랜드다. 뉴질랜드 여권은 멀리서도 한눈에 구분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바로 검은색 바탕에 은박으로 새겨진 고사리무늬 때문이다. 뉴질랜드 고사리 잎의 앞면은 녹색이지만, 뒷면은 은색이다. 이 고사리 뒷면을 여권에 표현한 것이다. 그런데 왜 고사리일까?
고사리는 뉴질랜드의 원주민인 마오리족을 상징한다. 마오리족은 사냥이나 전투를 위해 먼 길을 떠날 때 자신들이 지나가는 지점마다 고사리 잎을 뒤집었고, 집으로 돌아올 때 달빛에 반짝이는 은색 고사리를 따라 무사히 귀환할 수 있었다.
[참고도서] <비행하는 세계사> 이청훈, 웨일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