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한 인문학Q

대재앙 속에서 탄생한 발명품, 자전거

궁금한 인문학 Q : 대재앙 속에서 탄생한 발명품, 자전거 궁금한 인문학 Q : 대재앙 속에서 탄생한 발명품, 자전거

1815년 4월 5일. 인도네시아 숨바와 섬에서 갑자기 대포 소리 같은 굉음이 터져 나왔다. 소리의 정체는 바로 섬 북쪽에 위치한 탐보라 화산의 폭발!
하지만 이 폭발은 대재앙의 예고에 불과했다. 그로부터 5일 뒤, 탐보라 산에서 지난 1,000년을 통틀어 가장 강력한 화산이 폭발했기 때문이다. 용암과 화산재로 섬 원주민들 대부분이 사망했고, 인도네시아에서 총 7만여 명이 목숨을 잃었다.
화산 폭발은 곧 잦아들었지만 재앙은 멈추지 않았다. 막대한 양의 화산재가 적도 상공으로 올라가 햇빛을 가렸고, 이로 인해 기온이 낮아지면서 지구는 “여름이 없는” 시기를 보내야 했다. 그리고 이상 기후는 가뭄과 홍수 등의 재해를 불러왔고, 곡물 생산량이 급격하게 줄어 사람은 물론 소와 말 같은 가축도 굶어 죽는 일이 속출했다.
자연재해로 전 인류가 위기를 맞이했지만, 독일 바덴의 산림청에서 근무하던 카를 폰 드라이스는 이를 자신의 발명품을 홍보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했다. 실제로 그의 발명품은 사람들에게 큰 환영을 받았고, 오늘날까지도 인간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의 발명품은 과연 무엇일까.

 
  •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영상을 보시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재생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동영상 재생이 안 될 경우 FAQ > 멀티미디어 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본 콘텐츠는 역사적 사건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일부 내용은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등장한 '드라이지네'

궁금한 인문학 Q : 대재앙 속에서 탄생한 발명품, 자전거-1

1817년 6월 12일. 독일 남부의 도시 만하임의 가장 넓고 좋은 도로에서 옷을 잘 차려 입은 한 신사가 낯선 기계에 올라탔다. 당시 사람들에게 익숙한 교통수단은 말이나 말이 끄는 마차였다. 하지만 그는 말이나 마차 대신 두 개의 바퀴가 앞뒤로 연결된 기계에 올라 타 힘차게 발을 구르고, 핸들을 조정하며 앞으로 나아갔다. 이날 그가 달린 거리는 총 12.8킬로미터! 기존의 우편 마차로는 4시간이나 걸리던 코스를 1시간 만에 주파했다.

탐보라 화산 폭발로 기근이 심각해지고 말도 귀해진 시기에, 마차보다 더 빨리 달리는 기계가 등장하자 사람들은 환호할 수밖에 없었다. 이 기계는 곧 독일 전역에 빠르게 보급되었고, 사람들은 이를 ‘달리는 기계’라는 뜻의 ‘드라이지네(Draisine)’라 불렀다. 인류 역사에 드디어 ‘자전거’가 등장한 것이다.

자전거가 지금처럼 사람들의 일상에 자리 잡기까지의 과정은 순조롭지 않았다. 완성도가 부족한 초기 버전의 자전거를 탄 사람들이 인도를 내달리면서 행인들을 위협했고 사고가 잇따르자 독일, 영국, 미국 등에서 인도 위를 달리는 자전거를 단속하기 시작했다. 게다가 1825년 증기 기관차가 최초로 사람을 태우고 달리는데 성공하자 사람들의 관심은 철도로 쏠렸고, 발을 구르며 달리는 ‘드라이지네’는 눈 밖으로 밀려났다.

하지만 자전거는 계속 변화해갔다. 1860년대 프랑스 파리 변두리에서 작은 만물상을 운영하던 피에르 미쇼는 자전거에 페달을 달아 땅에 발을 닿지 않고, 우아하고 효율적으로 달릴 수 있게 만들었다. 그리고 1880년대에는 체인으로 뒷바퀴를 돌려서 굴리는 ‘안전 자전거(Safety Bicycle)’가 등장했다. 또 1885년에는 스코틀랜드의 발명가인 존 던롭이 개발한 공기 타이어를 장착하면서 오늘날의 모습을 갖추어 갔다. 가격도 많이 낮아졌다. 1870년대에는 천만 원 정도의 고가였던 자전거는 제작 과정이 점차 개선되면서 1910년에는 30만 원대로 가격이 낮아져 서민들도 이용할 수 있는 대중적인 교통수단으로 자리잡을 수 있었다.

자전거의 성장이 미친 영향

궁금한 인문학 Q : 대재앙 속에서 탄생한 발명품, 자전거-2

자전거의 성장은 다른 상품이나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직격탄을 맞은 것은 바로 말과 관련된 산업이었다. 1896년에 발표된 <뉴욕 상업 저널(New York Journal of Commerce)>에 따르면 미국 7대 도시에서 키우는 말의 숫자가 전년에 비해 24만 마리가 줄어든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마차의 가격은 곤두박질 쳤고, 말을 보살피던 하인들은 새 직업을 찾아야 했다.

다음 희생자는 귀금속과 가구 시장이었다. 자녀들 선물로 시계나 목걸이를 사던 부모들이 이제 자전거를 사주기 시작했던 것이다. 신혼부부들 역시 부모에게 받고 싶은 선물 1순위로 가구 대신 자전거를 선택했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자전거를 타게 되면서, 자연스레 불편한 양복 보다는 스포츠 복장을 즐겨 입게 되었다. 이에 따라 미국의 양복점과 양장점이 25퍼센트 줄었으며, 뉴욕의 재단사 2만 명 중 8,000명이 일자리를 잃었다.

술과 담배 역시 자전거 열풍을 비껴갈 수 없었다. 자전거로 출퇴근 하면서 자연스레 술집을 피하게 되었고, 술 대신 피로회복에 좋은 강장제를 찾기 시작했는데 이때 많은 이의 사랑을 받은 것이 콜라 콩으로 만든 강장제, 즉 코카콜라였다. 또 당시 미국의 담배 소비량은 1일 평균 100만 개피나 줄어들었는데, 작가 에두아르트 베르츠(Eduard Bertz)는 그 원인으로 자전거를 지목했다. 자전거를 타려면 양손이 다 필요하므로 담배를 들고 있을 수 없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자전거를 교통수단이 아니라 취미활동 중 하나로 즐기게 되면서, 오락산업이나 출판시장도 피해를 입었다. 따뜻한 날이 되면 자전거를 타고 교외로 나가면서, 시내 극장은 텅텅 비게 되었고, 급기야 시카고에서는 여름 공연을 중단하게 되었다. 책이나 신문 역시 자전거 열풍으로 인해 판매가 위축되었는데, 한 칼럼니스트가 8주 동안 거리에서 사람들을 지켜본 결과, 자전거를 타고 가는 사람은 5만 명 이상이었지만, 책을 들고 가는 사람은 고작 92명에 불과했다고 발표했다.

건강과 환경을 위해, 다시 자전거로!

궁금한 인문학 Q : 대재앙 속에서 탄생한 발명품, 자전거-3

이렇게 산업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던 자전거였지만 모터사이클 같은 새로운 교통수단의 등장으로 잠시 그 인기가 주춤하던 때가 있었다. 하지만 1955년 심장병으로 고통 받던 아이젠하워 대통령에게 주치의가 자전거 타기를 추천했을 정도로 자전거는 교통수단이 아닌 운동기구로서 다시 떠올랐고, 1973년 오일쇼크 발생과 더불어 세계적으로 환경 문제 이슈가 대두되면서 기름 없이도 탈 수 있는 자전거는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다시 주목을 받게 되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월 1회 이상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은 1,340만 명에 달하지만, 실제 통근이나 통학용으로 이용하는 사람은 38만 7천여 명으로, 전체 교통수단 중 분담률이 1.4%에 불과하다. 하지만 월 1회 이상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은 1,340만 명으로 여전히 큰 사랑을 받고 있다.

위기를 기회 삼아 화려하게 등장한 이후 2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모습과 용도를 바꾸어 가며 수많은 변화와 함께 한 자전거. 오늘 집 한 켠에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자전거를 꺼내 그 끈질긴 생명력을 느껴보는 것은 어떨까.
궁금한 인문학 Q : 대재앙 속에서 탄생한 발명품, 자전거-4

[참고도서] <자전거, 인간의 삶을 바꾸다>, 한스 에르하스, 아날로그(글담)

  • 본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입니다.
  • 본 콘텐츠는 사전 동의 없이 상업적 무단복제와 수정, 캡처 후 배포 도용을 절대 금합니다.
작성일
2019-12-16

소셜 댓글

SNS 로그인후 댓글을 작성하시면 해당 SNS와 동시에 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광화문에서 읽다 거닐다 느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