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한 인문학Q

뇌도 방귀를 뀐다고?

궁금한 인문학 Q : 뇌도 방구를 뀐다고 궁금한 인문학 Q : 뇌도 방구를 뀐다고

1857년 영국 언어학회는 옥스퍼드대학에 거대한 프로젝트를 제안한다. 그것은 지금껏 출간된 그 어떤 영어 사전보다 방대하고 수준 높은 영어 사전을 만드는 것이었다. 옥스퍼드대학은 그 제안을 받아들여 자료 수집에 착수하지만 22년이 지나서야 본격적인 작업이 시작되었고, 49년 동안 무려 천오백여 명의 학자가 동원된 끝에 드디어 1928년, 총 열두 권 분량의 책에 사십만 개가 넘는 단어가 실린 초판을 완성했다.
오랜 기간 심혈을 기울여 제작된 만큼 옥스퍼드 영어 사전은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영어 사전으로 인정받았고, 2000년부터는 온라인 서비스를 시작해 3개월마다 새로운 어휘를 등재하고 이를 발표하고 있다.
여기에 등재된 신조어들은 해당 시기의 이슈나 트렌드를 반영하기 때문에 자연스레 세간의 이목을 끈다. 특히 2015년 옥스퍼드의 온라인 영어 사전에 등재된 신조어에는 배가 고파 화난다는 뜻의 ‘행그리(hangry)’, 바지 호주머니 속 휴대전화가 잘못 눌러져 전화가 걸리는 ‘포켓 다이얼(Pocket dial)’, 영국의 유로존 이탈을 뜻하는 ‘브렉시트(Brexit)' 등이 있었다.
그런데 당시 옥스퍼드 공식 블로그에서 실시한 신조어 선호도 조사에는 우리에게 낯선 단어가 2위로 올랐다. 바로, 18%를 차지한 '브레인 파트(Brain fart)’다. ‘브레인(Brain)’은 ‘뇌’를 뜻하고, ‘파트(fart)’란 ‘큰 소리를 내며 뀌는 방귀’를 의미한다. 직역하자면 ‘브레인 파트’는 ‘뇌 방귀’란 뜻이다.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등록될 정도로 영어권 사람들에게 익숙한 이 단어는 도대체 어떤 의미를 담고 있을까?

 
  •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영상을 보시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재생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동영상 재생이 안 될 경우 FAQ > 멀티미디어 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본 콘텐츠는 역사적 사건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일부 내용은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뇌방귀’라 칭하는 현상은 무엇?

궁금한 인문학 Q : 뇌도 방구를 뀐다고-1

방귀란 음식물과 함께 입을 통해 들어간 공기가 장 속 내용물의 발효에 의해 생겨난 가스와 혼합되어 항문으로 배출된 가스체를 말한다. 즉, 몸속의 불필요한 가스를 몸 밖으로 배출하는 자연스런 생리현상이다. 그렇다면 ‘뇌 방귀’란 우리 뇌 속에 있는 불필요한 가스를 말하는 걸까.

종종 이런 화면을 볼 수 있다. TV 프로그램에서 대담을 하던 사람이 갑자기 당황해 하며 말을 잇지 못한다. 말하고 싶은 내용은 있지만 그것에 해당하는 ‘단어’가 떠오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영어권에서는 이런 상황을 두고 이렇게 말한다.

“아이 해드 어 브레인 파트(I had a brain fart)!”

마치 뇌가 방귀를 뀌느라 잠시 정신이 나간 것처럼, ‘하려던 말이나 행동이 생각나지 않았다’는 표현이다.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서는 ‘브레인 파트’를 ‘일시적으로 정신을 깜박하거나 정확하게 사고를 하지 못하는 상태’로 정의하고 있다.

‘뇌방귀’ 현상에 대한 연구의 시작

궁금한 인문학 Q : 뇌도 방구를 뀐다고-2

브레인 파트 현상 중 언어와 관련된 부분은 심리학자들의 오랜 연구 대상이었다. 1890년 심리학자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는 처음으로 이 현상을 다루면서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그 단어의 망령 같은 게 나타나 우리에게 이리 오라고 손짓을 하면서, 잡힐 듯 가까워졌다는 느낌으로 우리를 안절부절못하게 만들어놓고서는 결국 우리가 그 단어를 모르는 채로 가라앉게끔 내버려 둡니다.”

이후 1966년 하버드대학교의 로저 브라운(Roger Brown)과 데이비드 맥닐(David McNeill)은 말이 나올 듯 말 듯 혀끝에서 맴도는 이 현상을 “설단 현상(tip of the tongue)"으로 명명하고, 본격적으로 연구를 시작했다.

이들은 사람들에게 생소한 단어들을 외우게 하고, 일정 시간이 흐른 뒤 그 단어를 기억해 답하게 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사람들은 해당 단어의 의미나 유의어, 그리고 첫 글자나 글자의 개수 등은 기억했지만, 정작 그 단어를 정확히 기억해내지는 못했다. 왜 이런 ‘설단 현상’이 생겨나는 걸까?

생각의 맥이 끊기는 현상의 원인

궁금한 인문학 Q : 뇌도 방구를 뀐다고-3
궁금한 인문학 Q : 뇌도 방구를 뀐다고-4
설단 현상에 대해서는 여러 학자가 다양한 가설을 주장하고 있는데, 이 중 캘리포니아 포모나대학교의 신경과학자 데버러 보크(Deborah Burke)는 우리 뇌가 단어를 저장하고 인출하는 방식을 주목한다. 예를 들어, ‘스테이플러’라는 단어 자체가 가진 소리와 ‘철침을 사용해 서류 따위를 철하는 도구’라는 의미는 각각 뇌의 다른 부분에 저장되는데, 그 연결 관계가 약해지면 이후 해당 단어를 인출할 때 ‘서류를 철하는 도구’라는 의미는 알지만 ‘스테이플러’라는 소리가 떠오르지 않아 설단 현상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설단 현상과 같이 단순히 단어가 생각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처음 의도했던 행동을 잠시 까먹거나 엉뚱한 행동을 하게 되는 ‘브레인 파트’는 왜 일어나는 걸까?

신경과학자들은 생각의 맥이 갑자기 끊기는 현상을 연구하다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했다. 뇌가 방귀를 뀌기 약 30초 전, 집중력을 담당하는 뇌 부위로 흘러가는 혈류가 갑자기 감소한다는 것이다.

우리의 뇌는 가급적 에너지를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노력하는데, 그 이유는 뇌의 무게가 우리 몸의 2퍼센트 밖에 차지하지 않지만, 에너지 소비량은 전체의 20퍼센트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가 전력으로 집중하거나 주목할 필요가 없을 때, 즉 일상적으로 반복되는 단순 활동을 하고 있을 때, 뇌는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해 휴식 모드에 돌입하고, 이에 따라 혈류가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매일 출퇴근 하는 길을 운전해 갈 때, 우리는 몸이 기억하는 대로 별생각 없이 주행하게 된다. 그래서 가끔 다른 약속 장소로 가야 하는 데도 멍하게 운전을 하다가 자연스럽게 집으로 가고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바로 이런 때가 뇌가 방귀를 뀌는 순간이고, 이런 순간은 일상에서 흔히 일어나고 있다.

여러 사람이 모인 곳에서 불쾌한 소리와 악취를 내는 방귀를 뀌는 것은 무척 당황스런 일이다. 하지만 방귀는 몸 안의 불필요한 가스를 배출하는 자연스런 현상이고, 오히려 억지로 참으면 장내 가스가 쌓여 대장 기능이 나빠질 수 있다.

뇌 방귀 역시 예상치 못한 순간에 엉뚱한 행동을 하게 만들어 우리를 당황하게 만들곤 한다. 단어가 빨리 생각이 안 나고, 스스로 바보 같은 짓을 했다고 느끼게 되는 이런 상황들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겠지만, 가끔은 뇌가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도록 멍 때리며 뇌 방귀를 배출하는 것도 건강한 삶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궁금한 인문학 Q : 뇌도 방구를 뀐다고-4

[참고도서] <뻘짓은 나만 하는 줄 알았어>, 피터 홀린스, 명진서가

  • 본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입니다.
  • 본 콘텐츠는 사전 동의 없이 상업적 무단복제와 수정, 캡처 후 배포 도용을 절대 금합니다.
작성일
2019-11-11
광화문에서 읽다 거닐다 느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