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식당에서 사진 촬영은 흔한 풍경이다. 인증사진의 주인공은 바로 음식이다. 먹짤이라 불리는 음식 사진은 실제의 음식 맛보다도 어떻게 하면 더 맛있고 군침돌게 찍을 수 있을까가 관건이다. 스마트폰의 보급과 SNS의 등장은 음식의 맛은 물론 음식이 보여주는 시각적인 측면을 더 강조하게 되었다. SNS가 미식 문화를 주도하면서 생겨난 현상은 사람들이 먹는 김에 사진을 찍는 것이 아니라, 인증사진을 찍으려고 먹는다는 것이다. 요식업계 종사자 사이에서는 '인스타그래머블'이란 신조어까지 생겼다.
-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영상을 보시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재생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동영상 재생이 안 될 경우 FAQ > 멀티미디어 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본 콘텐츠는 역사적 사건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일부 내용은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인스타그램(Instagram)’ + ‘할 수 있는(able)’
소셜미디어 '인스타그램'과 '할 수 있는'이라는 뜻의 영어 'able'을 합친 말로, 인스타그램에 올릴 만한 메뉴가 없으면 식당도 망한다는 의미다.
세계 정상급 셰프들과 글로벌 요식업계가 사랑하는 심리학자인 찰스 스펜스에 따르면, 음식은 혀가 아니라 뇌가 맛보는 것이라고 한다. 그는 인지과학과 뇌과학, 심리학, 디자인과 마케팅을 융합한 새로운 지식 분야인 가스트로피직스를 통해 미식의 세상을 본다면 요즘 트렌드가 자연스럽다고 말한다.
Gastronomy(미식학) + Physics(물리학)
= Gastrophysics (가스트로피직스)
음식 사진을 점점 더 많이 찍는 추세는 식사의 본래 목적보다 더 많은 눈을 사로잡기 위한 시각적 호소에 더 비중을 두고 있는데, 각종 매체들 역시 어떻게 하면 음식이 보다 매력적으로 보일지 연구하고 있다. 음식을 감각적으로 표현하며 즐기는 현상 ‘음식 포르노’, 그 정점에는 한국의 먹방이 있다.
[인터뷰] 안지현 | 가정의학전문의
우리는 음식을 먹지 않고 살 수 없는데요. 음식도 먹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느낌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음식도 먹는 환경의 만족도에 따라서 포만감을 느낄 수 있는데요. 예를 들면 사과를 주스로 갈아먹는 것보다는 껍질째 먹을 때 아삭아삭한 느낌, 코끝에서 느껴지는 향기가 우리 뇌에 만족감을 더 줄 수가 있고요.
가능하면 음식 재료는 가공한 것보다 거친 음식이 포만감에 도움을 줄 수가 있습니다. 음식을 먹는 속도도 중요한데요. 너무 빠른 음악을 들으면서 먹는 것보다 잔잔한 음악을 들으면서 음식을 씹고 느끼면서 드시면 적은 양을 먹고 만족감을 느낄 수가 있습니다.
어떤 미래가 오든, 우리는 계속해서 먹어야 한다. 즐거운 식사의 경험들도 인생의 중요한 부분이 된 오늘,
건강한 몸과 마음, 기분까지 채울 수 있는 맛과 음식에 대해 탐구는 계속될 것이다. 그나저나, 오늘은 뭘 먹을까.
[참고도서] <왜 맛있을까> 찰스 스펜서, 어크로스.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