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탐방 길라잡이

남영동 대공분실의 이유 있는 변신

영화로 돌아보기 제 1편 고문의 현장이었던 남영동 대공분실의 이유 있는 변신
영화로 돌아보기 제 1편 고문의 현장이었던 남영동 대공분실의 이유 있는 변신
국제해양연구소

서울시 용산구에 위치한 검붉은 벽돌 건물. 구조적으로 바람이 잘 통하고 휴게공간과 테니스코트까지 잘 갖춰져 있어 건물의 용도가 무엇이든 간에 참 잘 만들어졌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이토록 건축적 아름다움을 간직한 이곳을 70~80년대를 살아온 이들은 지옥으로 기억한다. ‘국제해양연구소’라는 현판을 걸고 있었지만 하루가 멀다하고 젊은이들의 찢어지는 비명이 울려 퍼졌다는 이곳. 영화 <남영동 1985> 그리고 <1987 >을 통해 이 건물의 숨은 사연을 하나씩 살피고 절대 잊지 말아야 할 두 인물 김근태와 박종철에 대해 알아보자.

영화로 돌아보기 제 1편 고문의 현장이었던 남영동 대공분실의 이유 있는 변신 - 1

영화 <1987 >에 '부국해양연구소'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는 남영동 대공분실

고문감옥 남영동 대공분실의 문을 열며

영화로 돌아보기 제 1편 고문의 현장이었던 남영동 대공분실의 이유 있는 변신 - 2
영화로 돌아보기 제 1편 고문의 현장이었던 남영동 대공분실의 이유 있는 변신 - 3

<인권문화센터로 변신한 대공분실의 현재 모습과 피의자 신분으로 끌려왔던 이들에게 공포심을 불러일으켰던 철문>

쿵. 드르륵. 끼익. 쾅. 혹은 철컥. 우리는 흔히 이런 의성어들로 문소리를 대신한다. 하지만 70~80년대 용산구에 위치한 ‘국제해양연구소’에 다녀온, 아니 타의에 의해 끌려갔던 이들이 기억하는 이곳의 철문은 마치 탱크와 같은 굉음을 냈다고 한다. 그도 그럴 것이 보통 이곳에 끌려온 이들은 두 눈을 가리고 양손을 결박당한 채였기 때문에 청각에 극도로 민감한 상황이었을 것이다.

이 건물은 1976년 국가보안법을 위반한 이들을 조사하기 위한 기관으로 설립됐지만 사실상 군사독재시절 유신정권, 전두환 정권에 반대한 이들을 연행해 죄를 고백할 때까지 고문하는 용도로 사용됐다. ‘국제해양연구소’라는 현판을 달고 있었지만 ‘남영동 대공분실’이라 불리었던 곳이다.

외적으로 무척이나 수려한 경관을 자랑하지만 어딘가 이상한 구석이 눈에 들어온다. 유독 작게 나 있는 5층 창문들, 진입하는 방향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설계된 후문, 그리고 공간적 제약 때문에 대저택이 아니라면 도통 쓰지 않는 원형계단방식까지. 설계를 맡았던 건축가는 당대 최고라 불리던 김수근. 그가 이런 방식을 선택한 데엔 분명한 이유가 있었다.

다음 스팟을 보시려면 위의 이미지 숫자를 순서대로 눌러주세요.

글, 사진
공서연
  • 본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입니다.
  • 본 콘텐츠는 사전 동의 없이 상업적 무단복제와 수정, 캡처 후 배포 도용을 절대 금합니다.
작성일
2019-03-22
광화문에서 읽다 거닐다 느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