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한 인문학Q

일본판 원제 <엄마 찾아 삼천리> VS 한국판 <엄마 찾아 삼만리>

 궁금한 인문학 Q : 엄마 찾아 삼만 리, 실제 거리는? 궁금한 인문학 Q : 엄마 찾아 삼만 리, 실제 거리는?

1976년, 텔레비전에 방영되면서 많은 어린이들의 눈물샘을 자극했던 한 만화영화가 있다.
제목은 <엄마 찾아 삼만리>. 이 만화영화는 이탈리아의 작가 ‘에드몬도 데 아미치스’의
단편 「아펜니노 산맥에서 안데스 산맥까지」를 토대로 만들어졌는데, 이탈리아 제노바에서 살던 소년 마르코가,
돈을 벌기 위해 아르헨티나로 떠난 엄마를 찾아 떠나는 고난의 여정을 그리고 있다.
그런데 이 만화영화의 일본판 원제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는 살짝 다른, <엄마 찾아 삼천리>다.
일본에서 ‘삼천 리’였던 것이 왜 한국으로 오면서 ‘삼만 리’로 바뀌게 된 것일까?

 
  •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영상을 보시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재생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동영상 재생이 안 될 경우 FAQ > 멀티미디어 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본 콘텐츠는 역사적 사건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일부 내용은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한국을 대표하는 노래 <애국가>와 <아리랑>. 이 두 가지에는 공통점이 있다.

궁금한 인문학 Q : 엄마 찾아 삼만 리, 실제 거리는? 1

바로, ‘리(里)’라는 거리 단위가 등장한다는 것이다. 1902년 대한제국에서 공표한 ‘조선 도량형 규칙’에서는 1리를 420미터로 규정했다. 이에 따르면 ‘나를 버리고 가시는 임은 4.2킬로미터를 가기 전에 발병이 나게’ 되고, ‘대한민국은 1,260킬로미터의 빛나고 고운 강과 산으로 이루어진 나라’가 된다.

일본도 마찬가지로 거리 단위를 ‘리’로 사용한다. 하지만 실제 그 길이는 한국과 매우 다르다. 1891년, 일본은 미터법에 의거하여 각 단위의 수치를 명확하게 정의했는데, 이 때, ‘1리’를 3.927킬로미터로 규정했다. 즉, 일본의 1리와 한국의 1리는 실제로 10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이다.

그래서 <엄마 찾아 삼천리>에서 ‘삼천리’는 일본에서 약 12,000킬로미터에 해당하고, 이는 이탈리아에서 지구 반대편에 있는 아르헨티나까지의 거리와 비슷하다. 하지만 한국에서의 ‘삼천리’는 ‘1,260킬로미터’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같은 거리를 표현하기 위해 <엄마 찾아 삼천리>가 <엄마 찾아 삼만리>로 바뀌게 된 것이다. 이처럼 듣기에는 비슷하지만 실제로는 그 수치나 의미가 다른 단위들이 있다. 또 다른 예가 바로 ‘캐럿’이다.

‘캐럿’이라는 단위가 ‘보석’을 더욱 가치있게 만들어 준다.

궁금한 인문학 Q : 엄마 찾아 삼만 리, 실제 거리는? 2 궁금한 인문학 Q : 엄마 찾아 삼만 리, 실제 거리는? 3

2017년 4월 홍콩 소더비 경매에서는 역대 최고가를 기록한 다이아몬드가 탄생했다. ‘핑크 스타’라는 이름의 이 다이아몬드는 무려 800억이라는 엄청난 금액으로 낙찰되었다.

다이아몬드의 가격은 4C 즉, 투명도, 가공 방법, 컬러, 그리고 무게 라는 네 가지 요소에 의해 정해지는데, ‘핑크 스타’는 내부 결점이 없고 타원형 형태로 선명한 핑크빛을 띄고 있으며, 무려 60캐럿에 달하는 엄청난 사이즈였기에 ‘최상등급’으로 평가를 받을 수 있었다.

여기서 캐럿은 보석의 무게를 측정하는 단위로, 1캐럿은 0.2그램에 해당한다. 캐럿 이라는 명칭은 캐럽 나무의 씨앗과 관련이 있는데, 저울이 없던 시절, 무게가 일정한 캐럽 씨앗으로 작은 보석의 무게를 측정했던 데서 유래했다. 그런데 성능 좋은 저울이 있는 오늘날에도 왜 계속해서 캐럿 단위를 쓰는 걸까?

그 이유는 바로, 캐럿이 보석을 더욱 가치 있게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시중에서 거래되는 대부분의 다이아몬드는 무게는 1그램 미만인데, 1그램짜리 다이아몬드만 되어도 등급에 따라 수천만 원에서 수억 원까지 거래된다. 1그램에 불과한 작은 보석이 고가에 거래된다는 것에 거부감을 느끼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단위를 그램에서 캐럿으로 바꾸면 그 느낌이 사뭇 달라진다.

“시중에서 볼 수 있는 대부분의 다이아몬드는 1캐럿(02.g)이나 2캐럿(0.4g)입니다.
5캐럿 다이아몬드는 무척 희귀하기 때문에 수천만 원에서 수억 원까지 거래되고 있죠.”


캐럿은 1그램짜리도 5캐럿으로 표현해, 작지만 희귀한 보석의 가치를 표현하는 데 적합한 단위로 사용된 것이다. 인류 역사에서 다이아몬드만큼이나 귀한 대접을 받고 있는 금 역시 캐럿 단위를 사용한다. 여기서 캐럿은 앞글자 c가 아닌 k인데, 금을 24K, 18K라고 표기할 때 쓰는 그 단위다. 금은 다이아몬드와는 달리 다른 금속과 섞어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금의 포함 비율이 가치를 평가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는데, 24K는 금의 비율이 24분의 24, 즉 100% 순수한 금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18K는 금의 비율이 24분의 18, 즉 75%가 순수한 금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여기서 잠깐, 금의 비율을 100분위로 표기하지 않고 24를 기준으로 삼았을까?

순금을 24K라고 칭하는 이유는 콘스탄티누스
황제때 만든 금화의 무게가 24실리케인 것에서 유래.

궁금한 인문학 Q : 엄마 찾아 삼만 리, 실제 거리는? 4

이것은 4세기 초반, 로마 제국의 콘스탄티누스 황제 때 만든 금화의 무게가 24실리케였던 것에서 유래했다.

다이아몬드의 캐럿과 같이, 금의 비율을 표기할 때만 이 캐럿Karat이라는 단위를 사용하면서 금의 특별한 가치를 더 해주고 있는 것이다.

궁금한 인문학 Q : 엄마 찾아 삼만 리, 실제 거리는? 5
단위란 인간이 자연을 이해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다.

몸무게를 의미하는 60이라는 숫자 뒤에 킬로그램(kg)이,
서울에서 부산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400이라는 숫자에 킬로미터(km)가,
오늘의 기온을 나타내는 10이라는 숫자에 섭씨(˚C)가 함께 할 때,
우리는 비로소 자연의 한 부분을 명쾌하게 이해할 수 있다. 다른 한 편으로는,
단위는 사람과 사람 사이를 잇는 소통의 도구가 되기도 한다.
단위의 의미를 서로 다르게 사용하면 뜻밖의 오해가 생기고,
반대로 상황에 적합한 단위를 사용하면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

자연을 제대로 이해하고, 사람들과 효과적으로 소통하고 싶다면
세상을 읽는 도구, ‘단위’를 주의깊게 들여다 보는 것은 어떨까?
단위로 구성된 세계를 알아갈수록, 우리는 우리가 속한 이 곳의
새롭고 다양한 측면들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참고도서] <단위로 읽는 세상> 김일선, 김영사

  • 본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입니다.
  • 본 콘텐츠는 사전 동의 없이 상업적 무단복제와 수정, 캡처 후 배포 도용을 절대 금합니다.
작성일
2019-01-31
광화문에서 읽다 거닐다 느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