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 당신에게 다가와 우리나라 최고의 문화유산이 무엇이라 생각하느냐고 묻는다면,
당신의 대답은 무엇일지 생각해본 적 있는가? 그 중 많은 사람들이 주저 없이 훈민정음을 꼽을 것이다.
중국의 한자를 빌려 쓰던 우리가 세종대왕이라는 성군에 의해 누구나 쉽게 읽고 쓸 수 있는 글자를 만들게 된 것이다.
이렇듯 위대한 훈민정음에 얽힌 흥미진진한 이야기들을 한국사 전문가 최태성 작가와 함께 나눠보자.
동영상 재생이 안 될 경우 FAQ > 멀티미디어 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본 콘텐츠는 역사적 사건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일부 내용은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훈민정음의 판본에는 크게 한문으로 되어있는 해례본과 언해본, 예의본이 있는데, 이 중 완전한 책의 형태를 지닌 것이 바로 해례본이다. 흔히 우리가 말하는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로 시작하는 서문은 훈민정음 언해본이며, 해례본은 ‘국지어음이호중국(國之語音異乎中國)’으로 시작한다. 이는 당대의 문자가 한문이었기 때문에 새로 만든 문자를 설명하는 문자언어 역시 한문일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훈민정음 해례본이 한글 즉, 훈민정음이라는 문자 체계의 사용방법을 알리기 위해 만들어진 사용 설명서 역할을 했다면, 훈민정음 언해본은 제작 원리에 관한 내용이 실려있지 않은 대신 왜 이러한 글자를 만들었는지를 설명하는 제작 이유서의 역할을 했다.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도대체 한글이 어떻게, 어떤 원리로 창제된 것인지에 대한 수많은 추측들이 난무했다. 이런 저런 설이 나돌던 와중에 해례본이 발견되면서 우리의 한글이 계통적이고, 독립적인 동시에 당시 최고 수준의 언어학적, 음성학적 지식과 철학적 이론까지 적용되어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1997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가 되었던 것이다. 현재 지구상의 모든 국가에서 쓰이고 있는 주요 문자 가운데, 창제 원리가 알려진 문자는 한글이 유일하다.
초간본 즉, 원본으로 여겨지는 해례본이자 최초로 발견된 해례본은 1940년 일제 강점기 시절, 경상북도 안동에서 발견됐다. 당시 국문학자 김태준의 제자였던 이용준에 의해 그 존재가 처음 밝혀지게 되었는데, 가문의 선조 중 한 명이 여진 토벌의 공로를 세워 세종으로부터 직접 하사받은 것이 광산 김씨 문중의 가보로 내려오다가 이 집안으로 장가를 간 이용준이 광산 김씨 종택에 있는 서고에서 발견한 것이었다. 일제가 민족말살정책을 자행하던 그 시기, 훈민정음 해례본은 간송 전형필 선생이 일본보다 먼저 김태준과 이용준을 만나게 되면서 오늘날까지 보존할 수 있게 되었다.
천 원이라는 거액에 판매하겠다는 소장자에게 간송 전형필 선생은 오히려 해례본의 가치는 그 이상이라며, 더 큰 금액을 제시한다. 천 원의 열 배인 만 원을 소장자에게 건넨 것이다. 당시 물가로 환산했을 때 만 원은 기와집 열 채 값에 해당하는 어마어마한 금액이었다. 광복 이후 6.25전쟁이 발발해 해례본을 품고 피난길에 오른 간송은 잠을 잘 때도 소중한 해례본을 베개 삼아 잤다는 일화가 전해질 정도로 소중히 다뤘다. 일제 강점기 시절 우리의 문화재가 나라 밖으로 빠져나가는 상황을 두고 볼 수 없었던 간송은 우리 문화를 지키기 위해 고서점을 인수하고, 골동품과 고서화를 몇 배의 돈을 주고 구입하는 등의 노력을 아끼지 않았던 진정한 노블레스 오블리주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