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탐방 길라잡이

임시정부의 마지막 청사에서 상념에 잠기다

서울 근대건축 문화 산책 제3편 : 경교장
서울 근대건축 문화 산책 제3편 : 경교장
임시정부의 마지막 청사에서 상념에 잠기다

최근 4.27 남북정상회담과 6.12 북미정상회담의 성공으로 다시 한번 주목받는 곳이 있다.
서대문에 자리한 경교장이 바로 그곳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마지막 청사로 쓰였고, 백범 김구 선생이 서거한 생생한 현장이기도 한 경교장은
김구 선생과 임시정부 출신 독립운동가들의 해방 후 정치 활동에 대한 편린을 엿볼 수 있는 곳이다.
평생 온 몸을 바쳤던 독립운동부터 남과 북으로 분단된 나라를 하나로 만들기 위해
끝까지 노력한 김구 선생의 활동과 삶의 흔적을 따라가다 보면 어느새 마음 한 켠이 숙연해진다.

< 2005년, 사적 제465호로 지정된 경교장 외관  />

< 2005년, 사적 제465호로 지정된 경교장 외관 >

경교장 내부에서 흑백사진으로 만날 수 있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요인들
경교장 내부에서 흑백사진으로 만날 수 있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요인들
경교장 내부에서 흑백사진으로 만날 수 있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요인들

경교장 내부에서 흑백사진으로 만날 수 있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요인들

한국 근현대사에 길이 남을 상징적 공간, 경교장

고려병원 시절
현재의 경교장 외관

고려병원 시절(좌)과 현재의 경교장 외관(우). 병원 건물에 둘러싸여 있는 이질적인 모습이 묘한 느낌을 준다.

지하철 5호선 서대문역에서 광화문 방향 언덕으로 조금만 올라가면 보이는 강북삼성병원 내에는 우리나라 근현대사에서 매우 의미 있는 장소가 자리하고 있다. 바로 경교장이다. 2층 규모의 고풍스러운 석조건물은 1945년부터 1949년까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마지막 청사로 쓰인 곳이자 백범 김구 선생이 안두희가 쏜 총에 맞아 생을 마감한 역사의 현장이다. 어떻게 이런 건물이 병원과 함께 위치해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 정도로, 경교장은 현대식 병원 건물과는 다소 부조화를 이루는 모습으로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본래 경교장은 해방 후 임시정부 요인들이 돌아왔을 당시 금광 개발로 부를 이룬 친일 기업인 최창학이 과거의 잘못을 뉘우친다는 의미로 본인의 별장으로 사용하던 이곳을 임시정부 요인들에게 제공했다고 한다. 원래 명칭은 죽첨장(竹添莊)이었으나 일본식 색채가 강한 이름이라 하여 서대문 근처의 다리 이름을 따 경교장(京橋莊)으로 바꾸었다.

백범이 암살되자 최창학은 유족 측에 돈을 요구했고, 이를 거절한 유족은 경교장을 다시 최창학에게 반납했다. 한국전쟁 이후 최창학에 의해 처분된 경교장 건물은 여러 번 주인이 바뀌다가 1967년 삼성재단에서 매입해 건물 뒤편에 고려병원(현 강북삼성병원) 본관을 붙여 건축하면서 오랜 기간 병원 현관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된 것은 2011년 3월부터 시작된 복원공사 후 2013년 3월 1일 개관하면서부터다.

Information.  경교장 관람 안내

주    소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 29
문    의 02-735-2038
이용시간 매주 화요일~일요일 09:00~18:00 (매주 월요일, 1월 1일 휴무)
입 장 료 무료

다음 스팟을 보시려면 위의 이미지 숫자를 순서대로 눌러주세요.

한율
사진
이원재
  • 본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입니다.
  • 본 콘텐츠는 사전 동의 없이 상업적 무단복제와 수정, 캡처 후 배포 도용을 절대 금합니다.
작성일
2018-07-19

소셜 댓글

SNS 로그인후 댓글을 작성하시면 해당 SNS와 동시에 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광화문에서 읽다 거닐다 느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