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Play 안 될 경우 FAQ > 멀티미디어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강 한국, 한국문화의 운명 : 언어와 이주를 통해 본 한국문화의 존멸 2부
한국의 불안한 국제적 지위는 한국 문화에도 반영되어 있다.
고유어인 한국어를 사용하면서도, 전근대에는 오히려 한문이 지배적 지위에 있었고, 한문의 지위는 후대로 갈수록 강화되었다.
- 한국 고유문화는 주변적 문화의식, 중심 문화에 대한 존숭, 식민 지배 없는 정신의 식민성 등으로 인해 소멸될 수도 있다.
- 문화적 자의식을 토대로 자기를 잃지 않고 외래 문화의 적극적 수용을 통한 기회 모색의 길을 열어야 할 것이다.
정병설
서울대 국문과 교수
경력 : 전「문헌과해석」 회장,
현 한국18세기학회 부회장
저서 「권력과 인간」, 「죽음을 넘어서」, 「나는 기생이다」, 「조선의 음담패설」 등
소셜 댓글
SNS 로그인후 댓글을 작성하시면 해당 SNS와 동시에 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완료
신청 완료 되었습니다.
서비스 이용안내
eBook & 영상콘텐츠 서비스는 ‘광화문에서 읽다 거닐다 느끼다’ 사이트 회원중 ‘교보생명 계약고객’ 전용 서비스입니다.
계약고객이신 경우 로그인하시면 본 콘텐츠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직 계약고객으로 인증하지 않은 고객님은 로그인 후 개인정보관리 페이지에서 계약고객으로 인증하시면 바로 콘텐츠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비스 이용안내
eBook & 영상콘텐츠 서비스는 ‘광화문에서 읽다 거닐다 느끼다’ 사이트 회원중‘교보생명 계약고객’ 전용 서비스입니다.
‘교보생명 계약고객 인증고객이 로그인’을 하시면 eBook & 영상콘텐츠 를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보생명 계약고객 인증은 개인정보 관리 메뉴에서 받으실 수 있습니다.